세계의 키타노, 그 남자 흉폭하다! 아사쿠사의 무명 개그맨이 영화로 금사자상을 받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인생!

Comedy

키타노 다케시라고 하면 도대체 어떤 인물을 떠올릴 수 있을까? 역시 영화감독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지 않을까? 그도 그럴 것이 그는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그랑프리에 해당하는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영화감독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쿠엔틴 타란티노도 무협영화 팬을 자처할 정도로 그 영향력은 국경을 넘나든다.

하지만 그런 키타노이지만, 일본에서는 개그맨 ‘비트 타케시’로서의 퍼블리싱 이미지도 그에 못지않게 강하다. 그렇다, 그는 영화를 찍기 훨씬 이전에는 아사쿠사의 잘 팔리지 않는 만담가(코미디언)였고, 현재도 여전히 TV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안방극장을 즐겁게 하는 확실한 TV 탤런트이기도 하다.

이번에는 한낱 일본의 무명 개그맨이 어떻게 세계적인 영화감독이 될 수 있었을까.

도대체 어떤 드라마가 있었던 것일까? 그의 반평생을 돌아보며 그 파란만장한 스토리를 살펴보자.

키타노 타케시에서 비트 타케시로,

1947년 1월, 키타노 다케시는 도쿄도 아다치구에서 울부짖었다. ‘대나무처럼 어떤 일에도 견디고 꿋꿋하게 뻗어나가길 바란다’는 뜻에서 ‘무케(武)’라는 이름을 지었다.

유년 시절, 아다치구 시마네의 집 앞에서 형 다이(왼쪽)와 타케(오른쪽)

교육열이 높은 어머니 밑에서 공부를 잘한 키타노는 명문 메이지대학에 입학했지만, 그곳에서 오월병에 걸려 학교에 거의 나오지 않았다. 어쩌다 보니 학생운동에 참여하거나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일상이었다. 그러나 당시 이미 25세였던 자신도 진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었고, 아사쿠사에 있는 스트립 극장 ‘아사쿠사 프랑스좌’에서 개그맨 견습생 지망생으로 엘리베이터 보이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역시 아사쿠사에서 개그맨 수련을 하고 있던 후일 파트너인 겐코지로를 만나 1972년 만담 콤비 ‘투 비트’를 결성한다. 개그맨 비트 타케시의 탄생이다.

영화인 ‘기타노 다케시’의 탄생

10여 년 동안 좀처럼 눈에 띄지 않다가 1980년 만담 붐이 일었다. 속사포처럼 말을 쏟아내는 키타노의 스타일과 시사성이 높은 화제를 재빨리 개그에 도입하는 ‘부도덕한 소재’는 ‘잔인한 개그’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그는 ‘만담꾼의 말에 화를 내는 바보들’이라고 일축했다.

키타노는 점차 TV 탤런트로서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독설가라는 대중적 이미지는 그대로 유지한 채, 소재에 의존하는 소모적인 말투를 버리고 개성을 중심으로 한 개그 스타일로 전환한 것이다. 그 파격적이고 어딘지 모르게 위험한 개그 스타일이 대중의 호응을 얻었고, 1985년에는 일주일에 무려 8개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그리고 그런 인기의 절정기에 한 번의 전환점이 찾아온다. 그 유명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 ‘전장의 메리크리스마스'(1983)에 출연한 것이다. 데이비드 보위, 사카모토 류이치 등 쟁쟁한 배우들과 함께 출연하며 일약 영화배우로 거듭났다.

키타노는 여기서 영화 제작에 대한 로망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6년 후 <그 남자 흉폭하게>로 직접 메가폰을 잡고 강렬한 감독 데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세계의 키타노로. 키타노 영화의 매력은?

키타노는 그때부터 현재까지 몇 년에 한 편씩의 속도로 영화를 찍고 있다. 지금까지 연출한 작품은 총 19편. 그 중 ‘하나비’로 세계 3대 영화제인 베니스 영화제에서 금사자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영화 팬이라면 그의 영화를 한 편도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실 나도 그의 열렬한 팬이다.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소나티네’이다!) ).

그런데 왜 그의 영화는 전 세계 사람들을 이토록 끌어당기는 것일까? 키타노의 영화는 저예산, 빠른 촬영(촬영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다)으로 유명한데, 그런 영화가 어떻게 이렇게 각광을 받게 된 것일까? 그 수수께끼를 생각하려면 먼저 기타노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인 ‘폭력’과 ‘키타노 블루’를 빼놓을 수 없다.

◆폭력

‘OUTRAGE’

키타노 영화에는 화려한 자동차 액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잘생긴 영웅이 초인적인 힘으로 악을 물리치는 장면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그저 무뚝뚝한 중년 아저씨들이 무덤덤하게 총을 쏘고 칼을 휘둘러서 모두 죽어간다. 게다가 극적인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도 아니고, 건조한 총소리와 칼이 하늘을 가르는 소리 등이 화면에 울려 퍼질 뿐이다. 그리고 그러면서도 그 폭력은 제대로 ‘아프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살인자들은 즉흥적으로, 즉흥적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젓가락, 가위, 치과용 드릴, 때로는 배팅센터…)을 흉기로 사용해 사람을 죽여 나간다. 그 모습이 마치 이쪽까지 아플 정도로 리얼하다. 의외로 이것이 실제 폭력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아프고, 조용하고, 현실적이다.

◆키타노 블루

‘A Scene at the Sea’

키타노 영화의 시각적 특징으로는 화면 전체의 톤, 소품의 색 등에 파란색이 자주 사용되어 기품이 있다고 하여 ‘키타노 블루’라고 불린다. 특히 ‘소나기네’ 등 중반까지의 작품에서 두드러져 유럽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갑자기 내린 비로 인해 화면이 푸른색으로 변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최대한 불필요한 색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했던 그는 이후 파란색을 의식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블루는 불안, 초조함 등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색으로 사용되기 쉽다. 그의 영화에는 가슴 뭉클하고 따뜻한 해피엔딩과 같은 이야기는 많지 않다. 항상 피 냄새와 주먹과 죽음이 따라다닌다. 그런 의미에서도 블루와의 친화력은 탁월하다. 관객의 마음은 차갑게, 얼어붙은 듯, 얼어붙은 듯, 심증을 준다.

“죽는 게 두렵지 않아요?”

“너무 죽는 걸 두려워하면 죽고 싶어져.” – ‘소나티네’ 중에서

-『Sonatine』에서

요약

그는 코미디언이자 풍자 전문가다. 데뷔 이후 줄곧 권력과 세상을 풍자해 왔다. 그래서인지 세상 엔터테인먼트 작품의 눈물겨운 감동과 편의주의가 코를 찌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우정, 사랑, 동료, 그런 미사여구가 감추고 있는 피, 땀, 상처를 드러내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그는 교제하던 여성을 다치게 한 기자에게 보복하기 위해 출판사에 난입해 유혈사태를 일으켜 체포된 전력이 있다. 그런 분노와 폭력을 현실적으로 품고 있는 그이기에 그런 영화를 찍을 수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그 탁월한 풍자 능력을 통해 세상을 냉철하게 바라보는 그의 시선이 블루 컬러를 만들어내고 있다. 극단적으로 평면적인 세계관이 영화에 보편성을 부여하고 세계적인 평가로 이어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최신 영화 정보 『목』정보

2023년 11월, 최신 영화 ‘목’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일본 통일을 이룬 전국시대 무장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그린 영화다. 그리고 이번에 그는 감독이자, 바로 그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으로 주연을 맡았다. 그동안 학생, 야쿠자, 화가, 서퍼 등 현대의 일상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던 키타노는 이번에는 전국시대라는, 차원이 다른 스케일에 도전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선언한다. 반드시 영화의 어딘가에서 그의 ‘폭력’이 발동할 것이라고. 그 ‘폭력’은 반드시 현실적인 ‘고통’을 수반하는 장면으로 뇌리에 박히는 장면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또다시 ‘키타노 블루’를 볼 수 있을까(2002년 ‘Dolls’ 이후 그 울림을 숨기고 있다). 팬으로서 지금부터 기대가 된다.

영화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아래

映画『首』公式サイト
2023年11月23日公開!北野武監督最新作!戦国武将、忍、名もなき芸人と百姓、それぞれの野望と儚い運命を描く戦国エンタテインメント。出演:ビートたけし、西島秀俊、加瀬亮、中村獅童、浅野忠信、大森南朋

출처

・北野武 Wikipedia

ビートたけし - Wikipedia

・GQ Special Interview : TAKESHI KITANO

勝ち抜いてきた男、北野武
北野武監督の最新作『龍三と七人の子分たち』が全国で公開中だ。暴力とお笑いの間を行き来する北野武/ビートたけしが、映画、お笑い、人生を語る。

・아다치구 인터뷰 키타노 타케시 씨

~足立大好きインタビュー~ 芸人・映画監督 北野武さん

・영화 ‘목’

映画『首』公式サイト
2023年11月23日公開!北野武監督最新作!戦国武将、忍、名もなき芸人と百姓、それぞれの野望と儚い運命を描く戦国エンタテインメント。出演:ビートたけし、西島秀俊、加瀬亮、中村獅童、浅野忠信、大森南朋

タイトルとURLをコピーしました